서울시 버스.택시 교통사고 사망자 76%가 보행자
페이지 정보
본문
교통안전공단이 최근 3년간(’12∼’14년) 서울시 버스.택시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망자의 76%가 보행자였고, 보행자 교통사고는 버스의 경우 정류장 부근에서, 택시의 경우 지하철역 부근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시 버스 보행자 사고다발지점은 총 7개로, 모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시행하는 정류장 부근 차도에서 사고가 발생하였고,
* 서울시 버스 보행자 사고다발지점 : 성신여대입구역(7건), 신도림디큐브시티(5건), 종로2가 네거리(6건), 강남고속터미널(7건), 서울역광장(12건), 청량리역(7건), 길음역(5건)
서울시 택시 보행자 사고다발지점은 총 11개로, 그 중 7개 지점이 지하철역 부근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 택시 보행자 사고다발지점 : 영등포시장(5건), 미아삼거리역(7건), 종로2가 네거리(11건), 동묘앞역(6건), 오류동우체국(7건), 중부교육지원청(7건), 서울역광장(6건), 청량리역(7건), 남구로역(7건), 연신내역(6건), 역촌역(5건)
이들 보행자 사고다발지점에서의 주요 사고원인은 버스의 경우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이 일반차로보다 보행자의 횡단거리가 짧아 무단횡단이 많기 때문으로 보이며, 택시의 경우에는 유동인구와 차량이동이 많은 지역의 지하철역 부근에서 주로 야간 시간대에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량의 운행속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서 보행자가 쉽게 무단횡단을 시도하거나 택시를 잡기 위해 차도로 내려오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 보행자 교통사고는 OECD 최하위로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4명이 보행자이며, 교통사고 치사율도 전체 교통사고보다 2배 가까이 높을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특히 보행자 교통사고는 가을 및 겨울철에 치사율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추운 날씨로 인해 보행자의 행동이 둔해지고 낮의 길이가 짧아져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 10만명당 보행 중 사망자수(4.1명)은 OECD 평균 1.1명보다 4배 정도 많음(2012년 기준)
* 2014년 우리나라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은 2.1(223,552건 발생, 4,762명 사망)인 반면, 보행자 교통사고 치사율은 3.7(50,315건 발생, 1,843명 사망)에 달함
공단 오영태 이사장은 “교통사고 사망자의 대부분이 보행자라는 것은 운전자나 보행자 모두 안전수칙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며, “보행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운수업계와 운전자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무단횡단 근절 등 시민들이 성숙한 교통안전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공단은 앞으로도 사고 다발업체나 다발지점에 대한 안전점검, 교통문화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캠페인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