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운전하면 사고위험 급증
페이지 정보
본문
교통안전공단이 피로운전의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해 잠을 자지 않은 상태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피로운전 운행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장애물 회피, 차선유지 등 위급상황 대처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고위험성이 평상시에 비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한 본 운행안전성 평가는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 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내 주행시험장에서 실시되었음
피로운전 운행안전성 평가 결과, 시속 60km로 주행시 전방에 갑자기 장애물이 나타나는 위급상황에서 운전자 반응시간이 느려지고 제동페달을 밟는 힘이 부족해지면서 정지거리가 평상시보다 최대 8m 더 증가하였고, 곡선주행 시에도 반응시간이 느려지고 핸들조작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빈번한 차선이탈과 함께 코스 완주 시간이 최대 41% 더 늘어났다.
한편 밤을 새고 운전을 하는 것은 소주 5잔을 마신 것과 같아 음주운전 면허취소 기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1%와 유사하다고 볼 때, 음주운전을 하면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사고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수면시간과 혈중알코올농도 : 국립교통재활병원 내과 김가영 교수는 “혈중알코올농도 0.05%는 잠을 자지 않고 18시간동안 깨어있는 것과 비슷한 상태로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정상의 2배 정도로 느려지고 시력과 청력감소가 나타나며, 혈중알코올농도 0.1%는 24시간동안 깨어있는 것과 비슷한 상태로 반응시간이 정상의 4배가 되며 집중력 저하와 자제력 상실, 자만현상 증가로 과속이나 차로변경이 증가하는 한편 판단력에서도 뚜렷한 저하가 나타나 운전조작 오류가 많아지는 만큼, 충분한 휴식 후 운전하는 것이 안전운전의 지름길”이라고 밝힘
* 음주량과 혈중알코올농도 :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체중 65kg인 성인남자가 소주 2잔 음주시 약 0.02~0.04%, 3~5잔 음주시 0.05~0.1%, 6~7잔 음주시 0.11~0.15%에 해당(출처 :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실제로 ’13년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치사율 2.73은 전체 교통사고(음주운전 제외)로 인한 치사율 2.31에 비해 18% 더 높아, 음주운전사고 발생시에는 사망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3년 교통사고 215,354건 중 음주 관련 사고는 26,589건(12.3%)이지만,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5,092명 중 음주운전 관련 사망자는 727명(14.3%)에 달함
공단 오영태 이사장은 “수면부족 등 피곤한 상태로 운전을 하게 되면 주의력, 판단력, 운동능력 등의 저하로 인해 다양한 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이는 자신은 물론 타인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며, “또 피로운전은 음주운전을 하는 것과 같은 만큼 그 위험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몸이 피곤하거나 술을 마셨을 때는 절대로 운전을 하지 않도록 주의를 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