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접근성 정의 및 관련법
페이지 정보
본문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 노인 등 정보취약계층이 인터넷 상에서 차별 없이 다른 사용자와 동등하게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웹 접근성의 주 목적은 웹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에 어떠한 상황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팀 버너스 리(웹 창시자)
웹의 힘은 그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4조제2항제1호)
누구든지 신체적 기술적 여건과 관계없이 웹사이트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장애인, 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 지침 정보통신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의 활용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
WAI(Web Accessibility Initiative)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자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 인지하고, 운용하고, 이해하고,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한 웹 콘텐츠를 만드는 것
Wikipedia
표준 브라우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웹 페이지에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장애인들도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한국정보문화진흥원(현 한국정보화진흥원)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사용자 웹 접근성이란?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에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여 설계하고, 실사용성을 고려하여 웹 사이트를 구현하였는지의 여부 수준을 의미
한국웹접근성 평가센터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에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여 설계하고, 실사용성을 고려하여 웹 사이트를 구현하는 것